본문 바로가기

옵티코어 주가 재무 실적 분석 2025.4

capitalcompass1 2025. 4. 14.

 

 

코스닥 옵티코어 주가 재무 실적 분석

오늘은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IT 하드웨어 기업, 옵티코어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최근 주가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많은 투자자분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인데요.

과연 옵티코어의 현재 가치는 적정한 수준일까요

 

본 포스팅에서는 옵티코어의 주가 동향, 재무 상태, 그리고 향후 실적 전망까지 검토하여

투자 결정에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혹시 주식투자 자금이 조금 부족하다고 느끼신다면 새로운 형태의 스탁론 레버리지 상품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과도한 지출은 좋지 않습니다. 적당한 레버리지를 원한다면 추천드립니다. 

 

- 주식스탁론이란

 

신용거래  미수의 장점을 합한 상품으로 레버리지 약 4배까지 대출 가능하며,

합리적인 금리로 6~12개월 장기적 투자시 적합 하여 하락장 대응이 가능합니다. 

 

미수나 신용거래에 비해 하락장에 안전성이 높으며 중장기간 운영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해 주세요.

 

코스닥 옵티코어 기업 개요 및 현황

옵티코어는 어떤 기업인가

옵티코어는 코스닥 시장의 전기·전자 업종, 특히 WISE Industry 26 분류상 IT 하드웨어 분야에 속하는 기업입니다.

광통신 관련 부품 및 장비의 개발,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나가고 있습니다.

12월 결산 법인이며, 기업의 상세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나 대표전화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주가 동향 분석

 

2025년 4월 9일 기준으로 옵티코어의 전일 종가는 1,890원 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일 대비 무려 198원(+11.70%) 상승한 수치로, 최근 시장의 높은 관심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52주 최고가는 1,960원, 최저가는 855원으로, 저점 대비 상당폭 회복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 수익률을 살펴보면 더욱 놀라운데요.

1개월 수익률은 +46.17%, 3개월 +42.53%, 6개월 +80.00%, 그리고 1년 수익률은 +45.05%에 달합니다.

단기 및 중장기적으로 매우 강력한 상승 모멘텀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거래량 역시 1,107,830주, 거래대금 약 20억 원 수준으로 활발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현재 시가총액은 약 730억 원입니다.

 

발행주식수는 39,338,196주이며 유동주식비율은 46.69%, 외국인지분율은 2.55% 수준입니다.

주요 주주 구성

 

옵티코어의 주요 주주 현황을 살펴보면, 진재현 외 4인이 11,860,000주(30.69%)를 보유하여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라이랍스랩이 8,741,250주(22.62%)를 보유하며 2대 주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주주 구성은 향후 기업 경영 방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이므로 주목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옵티코어 재무 상태 심층 분석

연간 실적 추이

 

이제 옵티코어의 재무 상태를 자세히 들여다보겠습니다.

아쉽게도 최근 몇 년간의 실적은 그리 긍정적이지 못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 2022년 (연결): 매출액 243억 원, 영업손실 27억 원, 당기순손실 108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 2023년 (연결): 매출액은 263억 원으로 전년 대비 8.28% 증가했지만, 영업손실은 41억 원으로 적자 폭이 확대(-51.39%)되었습니다. 당기순손실은 44억 원으로 전년 대비 손실 폭은 줄었으나 여전히 적자 상태를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 2024년 (연결, 실적): 매출액은 233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51% 감소했으며, 영업손실은 65억 원, 당기순손실은 65억 원으로 적자 규모가 더욱 커졌습니다.

이처럼 최근 3년간 지속적인 영업손실과 당기순손실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은

투자자 입장에서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입니다.

 

매출 성장세가 뚜렷하지 않고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는 모습은 기업의 펀더멘털에 대한 우려를 낳게 합니다.

분기별 실적 흐름과 변동성

2024년 분기별 실적을 살펴보면, 연간 실적 부진의 흐름이 그대로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1분기: 영업손실 22억 원, 당기순손실 23억 원
  • 2분기: 영업손실 25억 원, 당기순이익 15억 원 (비경상적 요인 가능성)
  • 3분기: 영업손실 17억 원, 당기순손실 19억 원
  • 4분기: 영업손실 1억 원, 당기순손실 38억 원

분기별로 영업손실이 지속되고 있으며, 2분기에 일시적으로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으나

이는 영업 외적인 요인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수익 창출 구조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내릴 수 있겠습니다.

재무 건전성 지표 부채비율 및 현금 흐름

 

재무 건전성 측면에서도 주의 깊게 살펴볼 지표들이 있습니다.

연결재무제표 기준 부채비율은 2022년 70.28%에서 2023년 76.69%, 2024년에는 107.56% 까지 상승했습니다.

부채 규모가 자본 총계를 넘어서기 시작했다는 점은 재무적 안정성에 부담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역시

 

2022년 15억 원 유입에서 2023년 7억 원 유출,

2024년에는 13억 원 유출로 전환되며 악화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기업의 핵심 영업 활동을 통해 현금을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성장 동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옵티코어 주가 지표 및 투자 전망

핵심 투자 지표 PER, PBR, EPS, BPS

옵티코어의 핵심 투자 지표를 통해 현재 주가 수준의 적정성을 평가해 보겠습니다.

  • EPS (주당순이익): 2024년 실적 기준 -223원입니다. 순손실을 기록했기 때문에 마이너스(-) 값을 보입니다.

  • BPS (주당순자산): 2024년 실적 기준 495원입니다.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값입니다

 

  • PER (주가수익비율): EPS가 마이너스이므로 산출되지 않아 N/A (Not Applicable)로 표기됩니다.이는 현재 주가를 이익으로 설명하기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동종 업종 PER이 48.34배인 점을 감안할 때,수익성 개선이 시급해 보입니다.

 

  • PBR (주가순자산비율): 현재 주가(1,890원)와 2024년 BPS(495원)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약 3.82배 수준입니다. (제공된 데이터 기준). 2024년 말 기준으로는 2.60배였습니다. PBR은 주가가 주당순자산의 몇 배로 거래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인데,1배 미만이면 저평가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습니다.현재 옵티코어의 PBR은 3배를 넘어서는 높은 수준으로, 기업의 자산 가치 대비 주가가 고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특히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습니다.

시장 컨센서스 및 목표 주가 부재

최근 3개월 이내 발표된 분석 리포트가 전무한 상황입니다.

이는 애널리스트들의 분석 커버리지에서 벗어나 있음을 의미하며,

투자 판단에 필요한 객관적인 정보 확보가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2025년 이후의 실적 추정치(컨센서스) 또한 부재하여 미래 실적에 대한 가이던스를 얻기 힘든 상황입니다.

투자 시 고려사항 및 전망

옵티코어 투자를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은 점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 강점: 최근 1년간의 강력한 주가 상승 모멘텀, IT 하드웨어/광통신 분야의 성장 잠재력
  • 약점: 지속적인 영업손실 및 당기순손실, 악화되는 재무 건전성 지표(부채비율 상승, 마이너스 영업현금흐름), 높은 PBR 밸류에이션 부담, 시장 컨센서스 부재

단기적인 주가 급등세는 매우 인상적이지만,

기업의 본질적인 가치를 뒷받침하는 재무적 성과가 아직 가시화되지 않고 있다는 점은 명백한 리스크 요인입니다.

과연 현재의 주가 상승세가 펀더멘털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선반영하는 것인지,

아니면 단기적인 수급 요인에 의한 것인지 신중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옵티코어 투자, 신중한 접근 필요

옵티코어는 최근 놀라운 주가 상승률을 기록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는 기업임에는 틀림없습니다.

하지만 재무 실적 측면에서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아 보입니다.

연속되는 적자 구조와 점증하는 재무 부담은 투자 결정에 있어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현재의 높은 PBR 수준은 향후 실적 개선에 대한 강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일 수 있으나,

구체적인 턴어라운드 시그널이 확인되지 않는 한 투자에는 보수적인 관점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향후 발표되는 분기 실적 및 공시 내용들을 면밀히 추적하며 펀더멘털 개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수적일 것입니다.

 

본 분석 자료가 옵티코어에 대한 이해를 돕고

투자 결정을 내리시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